핀란드 교육 6건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교육체계가 세계 1위?

한국 교육쳬계가 세계 1위? - 멀고느린구름 며칠 전 우리나라가 한 영국의 출판기업(이하 피어슨그룹)이 실시한 교육체계 평가에서 1위를 차지했다는 기사(*관련 기사)가 웹상에 도배됐다. 많은 언론들이 OECD가 3년마다 조사하는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와 이번 조사를 혼란스럽게 섞어놓아서 처음에는 두 평가가 동일한 평가인 것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이 두 조사는 별개의 조사이고, 피어슨그룹의 조사는 2012년의 첫 조사에 이어 이번이 불과 두 번째 치러진 조사이다. 첫 조사에서 우리나라는 2위를 했고 핀란드가 1위를 했다. 많은 언론들이 우리가 세계 1위를 차지했다는 것에 주목하여 높은 순위의 성과를 보도하는 것에 그치고 있으나, 정작 피어슨그룹의 보고서가 좀 더 깊게 파악하고자 했던 것은 어느 국가의..

더 보기

핀란드 교육과 한국의 대안교육 5 (최종편)

사회적 구성주의 교육과 인디언 티칭 자기주도적 학습법과 더불어 핀란드 교육시스템의 근간을 이루는 것이 바로 '사회적 구성주의' 교육이론이다. 러시아의 교육학자 비고츠키에 의해 주창되었다고 알려져 있는 이 교육이론은 학습이란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차원에서 일어난다고 말한다. 이 교육이론은 한 개인에게는 학습해야할 단계적인 지식이 있고, 개인이 특정한 지식을 갖춘 교수에게 레벨 1부터 9까지 순차적으로 학습해야 한다는 종래의 교육과정을 부정한다. 지식의 습득에는 근본적으로 단계가 없으며, 학습방법 또한 개별 교수에게 사사받는 방식보다는 공동체 속에서 서로 모르는 것을 문답해가며 자연스럽게 습득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보는 것이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의 시각이다. 핀란드 교육시스템은 이 시각을 ..

더 보기

핀란드 교육과 한국의 대안교육 4

핀란드의 모든 시민은 학생이다 - 핀란드 교육의 두 번째 대전제는 학습의 목표를 단기 간에 많은 지식을 습득하는 것에 두지 않는다는 것이다. 대학입시에 모든 학습의 목표가 맞추어져 있는 우리의 공교육은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보다 적은 시간을 들여 보다 많은 지식을 암기할 수 있느냐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핀란드는 우리와는 전혀 다른 목표를 두고 있는 것이다. 우선, 핀란드에서 대학이란 순수학문을 보다 심화 있게 학습하려는 이들을 위한 고등 교육기관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우리의 현실처럼 대학이 취업 준비기관으로 기능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핀란드에서는 취업을 위한 각종 사회적 교육기관을 별도로 마련해두고 있다. 따라서 취업을 목적으로는 하는 이들은 대학에 진학하지 않고 취업교육기관으로 진학한다. ..

더 보기

핀란드 교육과 한국의 대안교육 3

'핀란드 교육'은 없다 우리가 흔히 핀란드 교육, 핀란드 교육이라고 지칭하지만 - 필자마저도 - 엄밀한 의미에서 '핀란드 교육'이란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3부에 걸쳐 '핀란드 교육'에 대해서 이야기했으면서 갑자기 무슨 뚱딴지 같은 소리일까 싶을 것이다. 서둘러 해명을 해드리겠다. 핀란드는 우리나라와 같은 국가의 공통 교육과정이란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한국에서는 필수 교과니, 학년별 필수 수업 시수니, 일반 교육과정이니 하는 국가에서 일률적으로 정한 기준에 의해 전국의 모든 공교육 시스템이 일괄적으로 가동되고 있다. 하지만 핀란드에는 그런 것이 없다. 국가는 단지 아이들에게 필요한 학습의 테마를 제공할 뿐이다. 가령, 그래도 학생들이 핀란드어는 배웠으면 좋겠다, 물리, 화학, 생물 등의 교과..

더 보기

핀란드 교육과 한국의 대안교육 2

삶의 자립, 그리고 학습의 자립 핀란드 교육의 가장 명백한 특징은 학습에 있어서의 자립이다. 아이들은 일찍부터 자기 스스로 자기가 배울 것을 선택하고 학습해 가는 것에 익숙해져 있다. 한국이나 일본에서도 보여지는 영재들을 위한 자기 주도학습과는 달리, 학업 성과가 뛰어나건 뛰어나지 않건 핀란드의 아이들에게는 학습은 곧 자기의 몫이다. 하지만 뭐든 자기 몫으로 맡겨만 둔다면 공부를 알아서 할 학생이 어디 있겠느냐고 반문할 수 있다. 핀란드 교육도 오래전에 봉착한 문제이다. 자유교육을 표방하며 의욕적으로 나섰던 국가들도 결국 이 문제에 봉착한 후 다시 일률적이고 강압적인 평가 시스템이나 교육방법을 적용할 수 밖에 없었다. 허나 핀란드는 같은 과오를 반복하지 않았다. 오히려 핀란드는 좀 더 개인의 자유도를 높..

더 보기

핀란드 교육과 한국의 대안교육 1

핀란드 교육 혁명! 한국도 대단해? 교육계에 부는 핀란드 교육의 바람이 거세다. 서점가의 교육학 코너에는 핀란드 교육의 비결, 비법, 비밀 등등의 제목은 물론 핀란드 교육'혁명'이라는 책까지 등장했다. 요즘의 이러한 핀란드 교육 열풍은 역시 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국제적 교육평가 PISA의 결과 덕분일 것이다. PISA를 통한 평가 결과 핀란드는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다. 가히 교육 선진국, 교육 강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대한민국 최북단에 위치한 파주에 조용히 살아가고 있는 나 같은 대안학교 교사에게도 직간접적으로 그 열기가 느껴질 정도이니, 그 위세가 실감이 간다. 특히, 일본은 PISA에서 내리 저조한 성적을 거둠으로써 국가 전체가 나서서 핀란드를 벤치 마킹하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