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뱅 4건이 검색되었습니다.
책 열어보기, - 마음 137억 년 전에 빅뱅은 우주에 별을 만들었습니다. 수소와 헬륨으로 구성된 아주 단순한 핵융합은 모든 창조의 원동력이 됩니다. 수소는 태워져 헬륨으로 변하고, 헬륨은 다시 핵융합을 통하여 탄소가, 탄소는 다시 네온, 네온은 다시 산소가 됩니다. 그렇게 마규네슘, 규소, 황이 등이 뒤를 잇죠. 핵융합 과정의 종착역은 철 입니다. 지구에 가장 많은 성분도 바로 철이죠. 철까지 융합한 별은 아주 파국적인 종말을 맞이 합니다. 초신성이라는 대폭발로 생을 마감하죠. 대폭발로 금속성의 물질은 우주로 뿌려져 또다른 별들의 씨앗이 됩니다. 지금으로부터 45억 6,700만년 전. 그 초신성의 잔해를 씨앗으로 삼아서 태양이 생겨납니다. 태양 중심의 금속성 물질은 중력을 통해서 수소들을 불러 모으고,..
2014. 10. 22. 14:24 written by 우물을 나온 개구리 댓글수
기사 열어보기 - 중력파의 흔적과 빅뱅, 그리고 멀티버스
기사 열어보기 '중력파의 흔적과 빅뱅, 그리고 멀티버스'- 마음 태초에 빅뱅이 있었다고 합니다. 과학자들만이 아니고 이제는 상식이죠. 빅뱅으로 '우리우주'는 급격하게 팽창을 하면서 우주에 균일하게 빛을 뿌렸습니다. 어찌나 균일한지 오차범위가 '1/10만'쯤 된다고 하네요. 덤프 트럭에 참깨알을 가득 싣고 바닥에 쫙 뿌렸는데 그 밀도가 '10만분의 1'의 정도의 오차만 보이면서 균일하게 퍼질 수 있을까요? 하여간, 아주 균일하게 퍼져있는 이 빛을 '우주배경복사'라고 하며, 1964년 이 우주배경복사를 발견한 전파 천문학자 앨런 펜지어스와 로버트 우드로 윌슨은 이 공로를 인정받아 1978년에 노벨물리학상을 받죠. 그런데 한가지 의문이 있습니다. 이렇게 넓은 우주에 어떻게 그렇게 균일하게 빛들이 뿌려질 수 있..
2014. 4. 3. 09:00 written by 우물을 나온 개구리 댓글수
명강 열어보기 - 정말 쉬운 빅뱅 우주론! '이석영의 빅뱅우주론 강의'
정말 쉬운 빅뱅 우주론! '이석영의 빅뱅 우주론 강의' - 마음 [인문강단 락] 이석영 교수의 빅뱅우주론 1강 빅뱅이론의 탄생... 작성자: girujang 지구는 태양을 중심으로 초당 30Km/sec의 속도로 공전을 하여 약 365일을 달려서 태양계를 한바퀴씩 돈다. 태양계 전체는 하루에 약 2,000만Km/day의 속도로 우리은하를 돌고 있으며, 공전을 하는 주기는 약 2억5천년쯤 걸린다고 한다. 그리고 태양의 나이가 대략 45억년이니 태양은 우리은하를 20바퀴쯤 돌았다고 한다. 그럼 20살일까? 하여간 태양계는 20대의 젊은이처럼 아주 젊은 천체에 해당 한다고 한다. 강의를 알아듣기 쉽게 하는 사람은 정말 잘 아는 사람이다. 이석영교수님의 “빅뱅 우주론 강의”는 책으로 소개되어 이미 올해 2월에 소..
2013. 12. 16. 15:45 written by 우물을 나온 개구리 댓글수
우주는 어디에서 시작되었을까 . 우리는 누구나 한 번쯤은 그런 의문에 사로잡히기 마련이다. 어릴 적 나는 숲에 들어가 나뭇잎 사이로 보이는 하늘을 올려다 보는 것을 좋아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저 하늘 너머에는 무엇이 있을까 하는 생각을 많이 했다. 중학생 시절 나를 온통 사로잡았던 질문은 왜 우주가 생겨 났으며 어떻게 생겨났는가 하는 것이다. 인간의 삶은 근원적으로 고통이다. 행복이란 것도 고통이 감소되거나 해소가 된 상태이다. 고통과 행복 중 더 근원적인 것을 말하자면 역시 고통이다. 물리학적으로 모든 생명은 에너지를 소비함으로써 존재한다. 무한정 에너지를 생산하며 존재하는 생명은 없다. 우리의 에너지원인 태양도 100만년이란 시한부 생을 가진 에너지를 소비하는 생명체다. 우주는 그 시작과 동시에..
2013. 2. 20. 10:54 written by 우물을 나온 개구리 댓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