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교육감 시대를 위한 도올의 교육입국론 l ② 공부론
공부란 몸, 그 인격 전체를 닦는 것이다 (한겨레 기사 전문 보기)
저는 도올 선생님 문하에서 철학을 수학했습니다. '공부(工夫)'의 진정한 의미에 대해서는 수차례 강조하는 말을 들었던 것 같습니다. 저 역시 학생 시절 도올 선생님의 공부론을 들으며 큰 감명을 받고, 전혀 새로운 방향에서 큰 공부를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공부란 것은 단순히 지식의 암기가 아니라 정신과 육신을 함께 단련하여 보다 더 나은 나 자신을 완성해가는 과정일 것입니다. 그것은 곧 유교에서 말하는 수신(修身)과 맥을 같이 합니다.
지금 우리의 교육은 입시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기술을 전수하는 수준으로 전락하고 말았습니다. 그런 교육은 아무런 방향성도 없으며, 아무런 것도 새롭게 창출해낼 수 없습니다.
과거에는 우리가 서양의 새로운 지식을 빨리 습득하고, 서양의 문명을 따라잡는 것만이 최선이었습니다. 그것을 위해 대꾸하지 않고, 오로지 서양의 선진 지식을 열심히 암기하고 그대로 흉내냈습니다. 그 열성적인 암기 교육이 지금의 우리 문명 수준을 이룩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일 것입니다.
그러나 이미 우리 문명은 서양 문명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수준에 올랐습니다. 더이상 서양을 흉내내는 것만으로는 새로운 시대를 살아갈 수 없습니다. 우리는 우리들의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고, 새로운 방향을 스스로 생각해내지 않으면 안 되는 시대에 와있습니다.
교육도 전혀 새로운 방향으로 바뀌어야 할 것입니다. 교육에는 진보와 보수가 있을 수 없습니다. 시대를 읽고 선도하는 교육과 시대를 따라가기에 급급한 교육이 있을 뿐입니다. 혁신과 안주가 있을 뿐입니다. 교육 패러다임의 대전환이 필요한 이 시기에 동양 교육의 시조라고 할 수 있는 공자의 '공부관', 동양의 전통적인 교육관을 다시금 되돌아보는 것은 무척 유의미한 일이 될 것입니다. 일독을 권합니다.
멀고느린구름
'지금, 교육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상 링크 - 이재정 경기교육감에게 듣는다 (0) | 2014.07.03 |
---|---|
기사 링크 - 귀농자의 자녀 교육(일다) (0) | 2014.06.25 |
교육감 선거 - 진보 교육감 13, 보수 교육감 4 (0) | 2014.06.05 |
인간성을 버리는 교육 (경향 만평) (0) | 2014.05.16 |
해외 학자 1074명, 세월호 참사 관련 성명서 (전문 공유) (0) | 2014.05.14 |